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티븐 호킹 최초 인터뷰 최초 인터뷰 스티븐 호킹 박사 언론인 안병찬 Ph.D ․ 원 『시사저널』 발행인 호킹 박사 초청 휠체어를 탄 영국의 우주물리학자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 박사와 인터뷰한 것은 1990년 9월이다. 원 『시사저널』창간인의 한 사람으로서 제작 책임을 맡고 있던 때였다. 나는 까다로운 호킹 박사 인터뷰를 손수 맡을 수밖에 없었다. 호킹 박사를 『시사저널』 표지 기사로 올리자고 우겨서 급기야 『시사저널』초청으로 그를 한국 땅에 오도록 만든 장본인이었기 때문이다. 인터뷰는 그가 투숙한 신라호텔 잔디밭에서 갑작스럽게 이루어졌다. 나는 즉석에서 영문 질문지를 만들어 호킹박사와 대면했다. 호킹박사와의 인터뷰는 특례라고 하겠다. 역경을 극복하고 언어합성기로 자기 의사를 표현하는 그의 의지는 특별한 것이.. 더보기 편집국 괴담 사진=시사IN 제공 편집국 괴담 나는 〈한국일보〉와 〈시사저널〉에서 개성 있는 후배들을 여럿 만났다. 한국일보 수습기자 후배인 김훈 작가는 그 가운데 유별난 한 사람이다. 설사 그가 현란한 명문으로 《칼의 노래》와 《남한산성》을 써서 낙양의 지가를 올리는 큰 작가가 되었더라도 나는 일선기자 김훈의 모습을 더 친근하게 여긴다. 몸 날려 현장 돌진 그는 〈한국일보〉 수습기자 29기 출신으로 13기인 나보다 12년 후배다. 내가 사이공 현장에서 승패를 다툴 때 그는 사회부에서 초년 경찰기자로 뛰고 있었다. 그는 나를 두고 이런 대목을 쓴 적이 있다. “내가 1973년 말 언론사에 갓 입사한 수습기자였을 때, 안병찬 선배는 산전수전의 현장을 갈고 다니던 고참이었다. 그는 철저한 현장주의 기자였고, 엄혹한 트레이.. 더보기 나의 추적자 ‘고재열’ 나의 추적자 ‘고재열’ 원(原) 〈시사저널〉시절부터 〈시사IN〉시절에 걸쳐 나를 추적하며 먹잇감으로 취재하거나 부려먹은 젊은 기자 한 명이 있다. 그 추적자는 정치·문화기자 고재열이다. 그는 고집은 가슴속에 감추고 겉은 수줍은 체 부드러운 목소리를 내는 친구다. 또 예민한 시각으로 세상을 쏘아보는 친구다. 2003년 2월 어느 날, 〈시사저널〉 편집고문실로 문화부 기자 고재열이 올라왔다. 당시 나는 경원대학교에서 언론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시사저널〉 고문을 겸직하고 있었다. 인터넷 성감대로 뛰어난 인터넷 전문기자인 고재열은 인터넷 문화의 ‘성감대’를 주제로 특집을 기획하고 내 글을 받아 싣겠다고 한다. 기자 출신의 언론학자로서 50․60세대를 대표하여 인터넷을 서핑한 후에 그 순행기(巡行記)를 써달라고 .. 더보기 '강철 무지개' 시퍼런 칼날 밟고 서다 광야 울리는 이육사와 안숙의 절명시 ‘강철의 무지개’처럼 시퍼런 ‘칼날’을 밟고 서다 김영삼 문민정부가 들어선 시절 서울대학교 언론학부에 출강할 때의 일화이다. 나는 강의 첫 머리에 수강생 중 한 사람을 불러내 시(詩)를 낭송하도록 한다. 이육사의 절명시(絶命詩) ‘광야(曠野)’가 그 하나다.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하여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광음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여선 지고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내리고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에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의 뒤에 백마를 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 이 광야에서 목 놓아 부르게 하리라 신세대 피 끓게 하는 저항의 노래들 젊은이.. 더보기 왜 '문재인 개혁'을 미국 일에 비유하는가 사진=5.18 유족을 위로하는 문제인 대통령 문화일보 2017년 5월 18일자 1면 보도 문제인 대통령 개혁 왜 미국을 준거로 삼는가 한국에 사는 일부 방송 토론자와 일부 지식인에게 묻는다. 문제인 대통령의 개혁 행보를 말하면서 걸핏하면 미국의 사례를 준거로 삼아 인용하고 비유하는 까닭이 무엇인가. 지난 5월 14일 일요일 오후 어느 종편 방송에 토론자로 나온 모 정치 평론가도 미국의 오바마를 끌어들여 비교하면서 잘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또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한복이 아닌 양장을 한 모습을 가리켜 '영부인 상을 깨는 행보' 운운 하며 미국의 미셀 오바마를 끌어다 대는 토론자도 있다. 심지어 미국의 공화당 대통령 후보 였던 밥 돌까지 비교 대상으로 등장하는 판이다. 이땅의 지식인과 권력자와 기득권 .. 더보기 베트남 어머니 고통을 조각하는 미국인 [2017년 4월 30일 통일베트남 42주년에 붙여] 베트남 어머니 고통을 조각하는 미국인 주인공은 미국인 조각가 짐 기온이다. 그는 베트남통일전쟁의 영웅인 한 어머니의 초상을 제작하고 있었다. 꽝남성 꽝히엔 마을에 사는 늙은 베트남 어머니 응웬 티 녓은 통일전쟁에서 남편과 아들 4형제를 잃었다. 남편과 4남 바친 녓 어머니 짐 기온은 1969년 베트남의 ‘더러운 전쟁’에 참전했는데 4년 전 베트남을 다시 찾아 각지를 여행하면서 베트남전쟁의 고통과 베트남사람의 상처를 피부로 느꼈다. 그는 중부도시 다낭에서 우연하게 호앙 띠 킴 즁이라는 이름의 베트남 여자경찰관을 만나 응웬 티 녓의 이야기를 들었다. 1966년 한 해에만 녓 어머니는 남편과 아들 둘을 전쟁에서 잃었다. 그녀는 흘릴 눈물도 말라버린 인고 속.. 더보기 왜 베트남에 가가 왜 베트남에 가나 나의 주변에는 베트남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어떤 사람은 ‘베사모’(베트남을 사랑하는 모임)를 만들어 매년 하노이와 호찌민시를 친선 방문합니다. 한 줌의 재 어떤 사람은 베트남의 분단시대와 통일시대에 걸쳐 반세기를 살면서 맺은 인연으로 호찌민으로 이름을 바꾼 사이공에 뼈를 묻습니다. 한국인과 베트남인 사이에 태어난 혼혈아(라이따이한)의 보호자를 자임하여 ‘빠빠 정’으로 불리던 정주섭 씨는 연전에 30여년을 산 호찌민에서 죽어 한 줌의 재가 되었습니다. 혼이 씌어 베트남의 혼이 씌듯 이 땅에 이끌린 한국인 제2세대도 있습니다. 호찌민 국가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구수정 박사는 한국군에게 학살당한 베트남 사람들의 고통을 밝혀내고 한베평화재단을 만들어 뜻있는 운동을 계속하고 있습.. 더보기 통일베트남 42주년-어머니의 힘 [2017년 4월 30일 통일베트남 42주년에 붙여] 베트남 어머니의 힘 위대한 인고(忍苦) 수도 하노이 리 쭈우엉 끼엣 거리 36번지의 베트남여성박물관. 그 2층 전시실의 한 벽면을 늙은 어머니들의 초상이 채우고 있다. 현판은 이렇게 기록한다. “베트남의 통일전쟁은 어머니들이 침묵으로 인고(忍苦)한 희생이 없었다면 성취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 어머니들의 아들과 남편은 모두 조국을 위해 죽었다. ‘영웅적 어머니’ 명예칭호 5만 명 1994년 9월 24일 베트남국회 상임위원회는 통일 전쟁에서 2명 이상의 자식이 생명을 잃은 경우, 외아들이나 무남독녀가 생명을 잃은 경우, 남편과 자식이 생명을 잃은 경우, 그리고 자기 목숨을 잃은 경우 어머니를 기려서 ‘베트남의 영웅적 어머니’라는 명예칭호를 수여하기로 결.. 더보기 베트남 2017년 4·30 전야에 [2017년 4월 30일 통일베트남 42주년에 붙여] 베트남 그 불굴의 자주정신 탈오리엔탈리즘의 안광(眼光) 하노이 전쟁박물관에서. 지난 4월 초에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특설(特設)-‘사이공 최후의 새벽’ 안병찬 특파원과 동행하는 호찌민 통일현장 취재 학 습단』이라는 제목의 실습교육을 편성, 주관했다. 이 교육의 기획자는 언론정보연구소장 윤석민 교수(언론정보학과)였다. 우리 최신세대와 '베트남의 빛나는 자주정신' 교육 목표는 두 가지였다. 첫째로 우리 최신세대에게 보여 주고 가르치고자 한 바는 '베트남의 빛나는 자주정신'이였다. 둘째는 '기록문학'의 표현력을 일깨우는 것이었다. 밝히고 싶은 것은 이번 교육이 최신세대에게 상당한 교육효과를 올렸다는 점이다. 오늘도 내 머리 속에서는 한국 비무장지대 장단.. 더보기 고우영 만평-파리 특파원의 신경질 고우영 화백 파리 만유기(漫遊記) 지치고 병든 몸이지만 특파원의 신경질이 무서워서 쉬지도 못한다. 지겨운 파리를 떠난다. 그날 아침에도 비는 촉촉이 내렸다. [주] 승용차 옆 은 한국일보 안병찬 특파원 승용차 안은 전직 한국일보 기자 그 아내 파리의 다리밑 사랑은 흐르고 그 옛날 즐거웠던 추억이 흘러간 강물...... 더보기 이전 1 2 3 4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