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로(旅路)
베트남 통일열차 차장으로 흐르는 시간과 공간
[나의 사망기사]
[나의 사망기사]는 커뮤니케이션북스가 기획한 《르포르타주 저널리스트의 탐험-안병찬》(2008년)에 머리말로 실은 글입니다.
<시사IN>의 고재열 문화팀장은 1년8개월 전에 이 글을 자기 파워 블로그 ‘독설닷컴’에 올렸습니다. 그는 나의 가장 친밀한 후배입니다. 이번에 이태의『남부군(南部軍)』에 관한 부분을 보완하여 [나의 사망기사-수정편]라고 이름 붙여 ‘위키트리’에 다시 올립니다. 『남부군(南部軍)』은 읽는 사람의 가슴을 시리게 만드는 체험적인 기록문학입니다.
여로(旅路)-몽골초원의 능선과 구름(사진=뉴시스 고명진 사진영상국장)
‘독설닷컴’ 고재열 기자가 올린 글 (2008년 9월6일 21:45)
‘어느 70대 노 기자의 자기 부고기사’
여기 어느 노 기자가 쓴
자기 부고 기사를 한 편 올립니다.
물론 이 기사는 가상 기사입니다.
그는 살아있는 기자입니다.
이 부고 기사를 읽으며
자신의 죽음마저 기록해 보겠다는
그 불굴의 ‘기록 정신’을
감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병찬 언론인권센터 이사장입니다.
그 전에는 경원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후학들을 가르치셨고
그 전에는 <시사저널> 주간과 고문으로 일하셨고 (이때 저와 함께 하셨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금도 ‘안 주간님’으로 부릅니다) 그 전에는 한국일보 기자로 일하셨습니다.
우리 업계에서는 ‘베트남전 최후 종군기자’로 유명합니다.
여로-131년 된 호찌민시 콘티넨탈 호텔 아침 식당에서
학교에서 스스로 사퇴하신 뒤에 스스로를 ‘르포르타주 저널리스트’로 명명하시고 지금도 취재를 계속 열심히 하시고 계십니다.
요즘도 그는 관훈클럽 3층 기자실에 매일 출근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취재한 기사로 그는 친정인 한국일보에
‘트렌드 하우스 QX’와 합작한 ‘안병찬의 하이킥 라이프’를 연재하고 계십니다.
안 주간님이 베트남전 종군기자로 가실 때 9년차 기자였습니다.
(지금 제가 9년차 기자입니다)
안 주간님은 올해로 기자 생활 46년차입니다.
<개그콘서트> ‘달인’식으로 표현하면 ‘46년 동안 기자질만 한, ‘구라’ 안병찬 선생’이십니다.
(블로거는 전문성이 없다고 비판하는 기자들에게 안 주간님이 이렇게 말씀하실 것 같네요. “기자질 46년 해봤어? 안 해봤으면 말을 하지마”라고요. ㅋㅋ)
얼마 전 안 주간님을 모시고 <님은 먼 곳에>를 보고 왔습니다.
‘베트남전 최후 종군기자'는 이 영화를 보고 무슨 생각을 할까’하는 궁금증 때문이었습니다.
보시고 많은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이 내용은 ‘독설닷컴 B컷’으로 남아있는데, 조만간 포스티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때 안 주간님을 블로거로 데뷔시켜야 되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직접 블로그도 만들어 드렸습니다.
블로그 이름은 ‘안병찬의 기자질 46년입니다’
(since1962.tistory.com)
첫 포스팅 글은 베트남전에 종군 기자로 활동할 당시 전설로만 들었던 ‘마담 빈’을 30여 년이 지난 뒤에 직접 만나보고 감격해 직격 인터뷰를 진행하고 쓴 기사입니다.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독설닷컴>에서는 앞으로 이런 식으로 ‘블로거 인큐베이팅’을 할 예정입니다. 자기만의 세상을 가지신 분들이 ‘블로고 스피어’에서 그 뜻을 펼칠 수 있도록 이끌어보려고 합니다. 안병찬 주간님 다음으로는 ‘한 한류스타 지망생의 대만 연예계 데뷔기’와 ‘재야 국악 고수의 대한민국 기생사’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독설닷컴>판 ‘주목할 만한 시선’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여로-몽골 알타이의 타왕복드 설산 (사진=박홍순 작가 제공)
안병찬 주간님의 부고기사 감상하세요.
이 부고기사는 안 주간님이 최근 발간하신
<안병찬, 르포르타주 저널리스트의 탐험>(커뮤니케이션북스)의 서문으로 쓰였습니다. 이 부고기사 한 편만으로도 그가 어떤 기자인지 잘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여로-몽골 알타이의 타왕복드 설산 (사진=박홍순 작가 제공) )
[나의 사망기사]
표제 : 눈사람(雪人) 되다
현역 ‘르포르타주 저널리스트’인 안병찬 언론학 박사가 2008년 10월 4일 생일날 몽골-알타이산맥 최고봉인 몽하이르한울(해발 4362m) 8부 능선을 넘은 직후 조난하여 불귀의 몸이 되었다. 나이 71세.
몽골의 산악수색대가 동사한 그와 안내인 돌고르 그리고 몽골 말 한 마리를 발견하는 데는 이틀이 걸렸다.
그의 최후 모습은 극적이었다. 눈사람(雪人)이 되어 서있었다. 휘몰아치는 풍설 속에 저승사자를 뿌리치며 몽골 안내인을 구하려고 애 쓴 듯 그 어깨를 움켜잡은 채 동작을 정지하고 있었다. 표정은 마침내 아늑한 곳에 대피한 양 지극히 평온했다. 그도 죽는가하여 많은 사람이 무상을 실감했다. 그는 이중 인간이었다. 생전에 딱딱하지만 열린 사람, 도발적이지만 유연한 존재라는 평판을 듣고 싶어 했다.
종말 여정 기록하다
그는 자기 성미대로 종말 여정조차 현장 기록으로 남겼다. 취재수첩의 말미는 두 줄의 최후 상황으로 끝난다.
“아! 몹시 졸리다……안내인은 이미 잠들다……. 그 사람 얼굴이 보인다, 여섯 사람이 주마등처럼 흐른다. 오후 6시12분……”
이 시대 최초 유일한 르포르타주 저널리스트가 되고 싶어 했던 그는 르포주타주 심포니의 마지막 몇 분을 장중하게 연주하지 못하고 미완성으로 마감했다.
몽골 평원과 구름 (사진=뉴시스 고명진 사진영상국장)
그는 종족의 근원지라는 몽골-알타이산맥과 고비-알타이산맥을 시계방향으로 돌며 큰 원을 그려 보겠다고 했다. 취재수첩에 따르면 그가 악전고투하며최고봉의 능선을 넘은 것은 생일 하루 전 오후 4시20분께. 캄캄한 밤이 되자 북방의 깊고 높은 산맥지대에 체감온도 영
어린 시절, 소년 안병찬은 말을 달려 중원의 드넓은 초지를 가로지르는 올곧은 용장 한 사람을 선망했다. 중학교 한문선생님은 중국 『삼국지』의 ‘장판파’ 전투에서 상산 조자룡이 촉나라 유비의 아들 유선을 갑옷 속에 품고 호왈백만 조조 군단 한 가운데를 필마단창으로 짓무찔러 열고 나가는 대목을 구수하게 들려주었다.
조조가 경산 위에서 전황을 내려다보고 있는데 마치 무인지경을 가듯이 자기 진지를 걷어차며 달리는 대담무쌍한 자가 있다. 조조의 명령에 맹장 조홍이 말을 몰아 산을 내려가 앞질러 나가서, “야, 적장 존함이 무엇이오?”하고 묻는다. 조자룡이 청공의 검을 고쳐 잡으며 “이 사람은 상산 조자룡. 네가 감히 앞질러 막으려는가.”하고 눈을 부릅뜨자, 조홍은 급히 말머리를 돌려 뛰어 올라가 조조에게 복명하니, 조조는 무릎을 탁 치며 말한다.
“만일 조자룡을 얻어 내 진중에 둘 수 있다면 한이 없겠구나!”
여로-베트남 통일열차 안에서 옥수수 한끼
열사(熱砂)로 날고 싶었다
안병찬은 태양이 강렬하게 빛나는 열사로 날아가고 싶어 했다. 영국 감독 데이비드 린이 찍은 <아라비아의 로렌스>, 작렬하는 사막을 눈부시게 그려낸 영화의 미학으로 그는 사막이 살아 숨 쉰다고 느꼈다. 역시 영국 감독인 안소니 밍겔라가 <잉글리시 페이션트>에서 만들어낸 영상은 풍미가 또 달랐다. 쌍엽기가 사막 위를 날아갈 때, 황혼 아래 펼쳐지는 사막은 사랑과 절망을 반사하며 끝없이 물결친다. 대조적인 두 장면은 그로 하여금 사막의 대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품게 했고 동시에 그의 야성을 충동했다.
청년기에 그는 프랑스 작가 두 사람의 작품에 주목한다. 앙드레 말로의 『인간의 조건』은 1927년 상하이의 4․12 쿠데타를 무대로 한 중국 혁명의 에피소드를 소설화한 것이다. 혁명이라는 숨 가쁜 현실 속에서 인간의 조건을 발견하는 한 청년의 생생한 체험과 피 어린 기록이다. 안병찬은 행동주의 휴머니즘이 발휘하는 능동의 정신이 인간을 불안에서 건져내는 횃불이 됨을 본다.
그는 앙트완 생텍쥐페리가 행동을 통한 명상 속에서 시적 언어로 써낸 『인간의 대지』에서 ‘성실한 용기’를 읽는다. 생텍쥐페리는 사하라 사막에 불시착하여 모래밭 한 가운데 큰 대자로 누워 바람과 모래와 별을 극채색으로 그린다. 그는 친구 앙리 기요메가 칠레 우편비행을 감행하다가 안데스산맥 고산에서 조난하여 눈과 얼음, 추위와 절벽 속에서 5일간 사투한 끝에 생환한 극기적인 행동이 얼마나 성실한 것인가 증언한다. 생텍쥐페리는 역경과의 싸움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아내고 그 극기적인 행동을 서정적 필치로 묘사해 낸 행동적 휴머니즘의 독창적인 르포르타주 작가다.
그는 두 작품을 통해 행동주의 휴머니즘에 근거하여 문학성과 역사성을 지향(指向) 하는 르포르타주 형식에 눈 떴으나, 그것은 그가 평생에 걸쳐서 붙잡으려한 사막의 신기루였다.
여로-출발
비창(悲愴)의 사실감으로
마침내 그는 26년차 논설기자로 중년기를 맞을 때 이태(李泰․본명 이우태)의 체험적인 기록문학『남부군(南部軍)』을 접한다. 『남부군』은 최초로 공개된 지리산 빨치산 수기로서 르포르타주가 어떻게 역사와 만나는지, 그 정수를 보여준다.
작가 이태는 기록이란 소재이지 역사 자체는 아니라고 말한다. “소재에는 주관이 없다. 소재는 미화될 수도 비하할 것도 아니다. 의도적으로 분식된 것은 기록이 아니라 창작이다. 나는 작가가 아니라 사실보도를 업으로 하는 기자였다.”
한 소설가는 “이것은 나의 지나친 독단일지는 모르지만 이 수기는 이때까지 내가 읽은 이런 종류의 수기나 소설을 통틀어 가장 역사의 현장에 가까이 가 닿아있다.”고 썼다. 안병찬은 『남부군』속에서 상상을 넘는 혹독한 조건과 극한의 상황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반응하고 행동하는 가, 그 비창(悲愴)한 사실감에 가슴이 시렸다.
더욱이『남부군』은 허리가 두 동강이 난 한반도의 한(恨)을 담은 비탄(悲嘆)의 증언록이다. 안병찬은 ‘한국 기록문학의 최고봉’은 『남부군』이라고 믿게 된다.
여로-또 낯선 곳을 향하여
바람과 별의 카라바니스트
안병찬이 무엇 때문에 몽골 말을 타고 고비사막의 드넓은 모래와 초지를 관통하여 만년설이 덮은 고비-알타이 및 몽골-알타이 산맥의 준봉과 폭풍설에 맞서는 최 고난도의 고행을 선택했을까.
그는 세 가지 주제 즉 올곧은 인간의 풍모, 사막과 바람과 별의 서사, 행동주의 휴머니즘의 르포르타주를 알타이 최후 노정에 혼입했다. 짐작컨대 그는 탐험과 고행을 통해 인간의 고향을 찾는 삶의 대장정을 실천하고자 한 것일 테다.
그와 가장 가까운 사람은 그가 ‘기획 여행’으로 행로를 잡았을 것이라는 가정에 동의한다. 인간사의 종착역 같은 것은 생각하기 싫다면서 활시위의 팽팽한 긴장을 사뭇 붙잡으려고 한 그, 그러나 최후의 선택은 자기 고집대로 가슴을 펴고 떳떳 당당하게 운명의 끝으로 걸어가는 것이었다.
결국, 현장 체험을 거쳐 인간사의 의미를 발견하려고 그토록 애쓰던 르포르타주 저널리스트 안병찬은 바람과 별 속에 사막을 횡단하는 카라바니스트가 되어, 장장 3000리의 알타이 장정에 올라, 자기한테 남은 최후의 에너지를 불사르며 스스로에게 쿠드그라스(coup de grace) , 자비로운 최후의 일격을 가한 것이다.
[안병찬-《르포르타주 저널리스트의 탐험》, 커뮤니케이션북스 기획 ‘한국의 저널리스트’ 시리즈 중, 2008년]
<옮긴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