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왜 베트남에 가가

 

왜 베트남에 가나

 

 

 

나의 주변에는 베트남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어떤 사람은 베사모’(베트남을 사랑하는 모임)를 만들어 매년 하노이와 호찌민시를 친선 방문합니다.

 

 

한 줌의 재

 

 

어떤 사람은 베트남의 분단시대와 통일시대에 걸쳐 반세기를 살면서 맺은 인연으로 호찌민으로 이름을 바꾼 사이공에 뼈를 묻습니다. 한국인과 베트남인 사이에 태어난 혼혈아(라이따이한)의 보호자를 자임하여 빠빠 으로 불리던 정주섭 씨는 연전에 30여년을 산 호찌민에서 죽어 한 줌의 재가 되었습니다.

 

 

혼이 씌어

 

 

베트남의 혼이 씌듯 땅에 이끌린 한국인 제2세대도 있습니다. 호찌민 국가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구수정 박사는 한국군에게 학살당한 베트남 사람들의 고통을 밝혀내고 한베평화재단을 만들어 뜻있는 운동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내가 상임고문으로 한 때 고락을 함께한 <베트남교민신문> 대표인 40대의 김종각 변호사도 한국인 제2세대입니다. 그는 2005년에 국제건설계약관리 변호사로 호찌민에 첫발을 들여 놓았다가 이 땅의 마력에 빠져 정주하게 됩니다. 지금은 국영 베트남통신사와 협업하여 신문 이름을 <베한타임스>로 바꾸어 발행하고 있습니다.

 

 

강렬할 태양 패연(沛然)한 소나기

 

 

나는 사이공의 강렬할 태양과 패연(沛然)한 열대성 소나기의 혼이 씌인 사람입니다. 풍토는 베트남이 온전히 자기 혼자의 힘으로 항불전쟁에서 항미전쟁으로 이어지는 기나긴 통일전쟁을 승리로 이끈 민족적 저력을 상징하는 듯합니다이렇게 철두철미하게 자주적인 힘으로 최후의 승리를 쟁취한 약소민족은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듭니다.

언론인 안병찬